술을 마실 때의 예의를 가르쳐 주도 혹은 주례(酒禮)라고 한다.
어른을 모시고 술을 마시는 예법에 대해 [소학(小學)]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보인다.
술이 들어 오면 자리에서 일어나 주기(酒器)가 놓인 곳으로 가서 절하고 술을 받아야 한다. 감히 제자리에 앉은 채로 어른에게서 술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른이 이를 만류하면 비로소 제자리에 돌아와서 마신다.
어른이 술잔을 들어서 아직도 다 마시지 않았으면 젊은이는 감히 마시지 못한다. 어른이 마시고 난 뒤에 마시는 것이 아랫 사람의 예의이다.
우리 나라의 사람들은 어른을 모시고 술을 마실 때는 특히 행동을 삼가는데, 먼저 어른에게 술잔을 올리고 어른이 술잔을 주시면 반드시 두 손으로 받는다. 또, 어른이 마신 뒤에야 비로소 잔을 비우며, 어른 앞에서 술을 마시지 못하는 것이므로 돌아 앉거나,상체를 뒤로 돌려 마시기도 한 다.
술잔을 어른께 드리고 술을 따를 때 도포의 도련이 음식물에 닿지 않도록 왼손으로 옷을 쥐고 오른손으로 따르는 풍속이 생겼다. 이런 예법은 현대 소매가 넓지않은 양복을 입고 살면서도 왼손으로 오른팔 아래 대고 술을 따르는 풍습으로 남아 있다.
술은 임금에서부터 천민에 이르기까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즐겨 마셨기 때문에 주례(酒禮)는 술과 함께 매우 일찍부터 있었다. [고려도경(高麗圖經)]의 향음(鄕飮)조에 따르면, 고려에서는 이 주례 (酒禮)를 매우 중하게 여겼다고 전한다.
『잔치 때 신분이 높은 사람은 식탁에 음식을 차려 놓고 의자에 앉아서 술을 마신다.
그러나 신분이 낮으면 좌상(左相)에음식을 놓고 두 사람이 마주 앉아서마신다.
잔치에 객이 많으면 좌상을 늘린다. 기혈(器血)은 구리(놋쇠)로 만든 것을 쓰고 어포(魚脯), 육포(肉脯), 생선, 나물 등을 잡연(雜然)하게 늘어놓고 있다.
그리고 주행(酒行)에 절도가 없어서 많이 권하는 것을 예(禮)로 안다.
또, 『사소절』에는 "술이 아무리 독하더라도 눈살을 찌푸리고 못 마땅한 기색을 해서는 안된다" 라고 하였다. 또한 술은 "빨리 마셔서도 안 되고, 혀로 입술을 빨아서도 안 된다"고 하였다.
박지원의 『양반전』에는 술 마실 때 수염까지 빨지 말라 하였다. "술을 마셔 얼굴이 붉게 해서도 안 되며, 손으로 찌꺼기를 긁어먹지 말고 혀로 술 사발을 핥아서도 안 된다.
남에게 술을 굳이 권하지 말며 어른이 나에게 굳이 권할 때는 아무리 사양해도 안되거든 입술만 적시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남에게 술을 따를 때는 술잔에 가득 부어야 하며, 술은 술잔에 차야 맛이라고 하는 말이 지금도 쓰인다.
그래서 술은 차야 맛이라 할 때는 술을 차게 해서 마시는 것이 좋다는 뜻도 되고 술은 술잔에 가득 차야 된다는 이중의 의미를 가진다. 술은 차야 맛이고 임은 품안에 들어야 맛이라는 속담도 이런 데서 생긴 것이다.
● 술자리 예절
- 첫째, 기뻐서 마실 때는 절제가 있어야 한다.
- 둘째, 피로해서 마실 때는 조용하여야 한다.
- 셋째, 점잖은 자리에서 마실 때에는 소세한 풍조가 있어야 하며
- 넷째, 난잡한 자리에 마실 때에는 금약이 있어야 한다.
- 다섯째, 새로 만난 사람과 마실 때에는 한아(閒雅), 이 경우 한(閑)은 한가 하다는 뜻이 아니라, 정숙함을 뜻한다. 진솔하여야 한다.
- 여섯째, 마지막으로 잡객들과 마실 때에는 재빨리 꽁무늬를 빼야한다.
이 여섯가지의 심득률(心得律)은 바로 자리의 분위기, 또는 몸의 컨디션을 가리는 중요한 명심사항이다.